<p></p><br /><br />최근 영국 신규 확진자의 90%가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죠. <br> <br>델타 변이. 기존 백신은 효과 있는 건지 궁금하단 목소리도 있는데 짚어봤습니다. <br> <br>델타 변이 특징은 강력한 전파력입니다.<br><br>알파 변이보다 40%에서 60%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[숨야 스와미나탄 / 세계보건기구 수석 과학자 (지난 19일)] <br>"델타 변이는 두드러지게 높은 전파력 때문에 세계적인 지배적 변이가 돼가고 있습니다." <br> <br>기존에 알려진 코로나19 증상은 발열, 마른기침, 피로, 후각과 미각상실 등이죠. <br> <br>그런데 델타 변이가 확산된 영국에서 코로나19 증상 추적 앱을 통해 5월부터 보고된 증상은 달랐습니다.<br><br>두통이 가장 많았고 인후통, 콧물이 뒤를 이었는데요.<br><br>"후각 상실은 10위권에도 들지 못했다"는 겁니다. <br> <br>백신 효과는 어떨까요.<br><br>영국 보건당국의 전염병학자는 영국의 "델타 변이 감염 사례 중 73%가 백신 미접종자"라 설명했는데요. <br> <br>델타 변이가 면역을 회피할 수 있다는 인도 연구진의 논문이 국내에도 인용 보도돼 불안하단 반응도 있었죠. <br> <br>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가능성을 제시한 거지 과학적 증명 더 필요하고, 아직 검토 완료되지 않은 논문입니다. <br> <br>영국 공중보건국의 연구를 볼까요. <br> <br>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를 1차 접종을 했을 때 델타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는 둘 다 33%로 다소 낮은 건 사실인데요.<br><br>2차 접종했을 땐 화이자 88%, 아스트라제네카 60%로 올라갔죠. <br> <br>영국 공중보건국은 2차 접종을 완료하면 감염되더라도 병원에 입원하는 걸 막는 건 화이자 96%, 아스트라제네카 92%라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국내외 전문가들은 2차까지 예방접종 달성이 중요하다 강조하는데요.<br><br>방역당국도 델타 변이 관련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: 조나영, 장태민 디자이너